맨위로가기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는 유니코드 13.0 버전에 추가된 한자 블록으로, U+30000부터 U+3134A까지의 코드 포인트 범위에 4,939개의 문자를 포함한다. 이 확장은 2012년부터 여러 문서와 회의를 통해 논의되었으며, 2019년과 2022년에 걸쳐 여러 수정 및 검토 과정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니코드 영역 - 딩뱃
    딩뱃은 장식 문자, 강조 표시, 비텍스트 상징을 포함하는 문자 집합으로, 유니코드 표준의 딩뱃 블록과 장식 딩뱃 블록을 통해 코드 포인트를 제공하며, 장식적 요소 외에도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담을 수 있다.
  • 유니코드 영역 - 한중일 호환용 한자
    한중일 호환용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기존 문자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추가된 한자 블록으로, 다양한 문자 집합의 한자들이 추가되면서 중복 및 정의 오류, CJK 통합 한자와의 호환 문제 등 기술적 고려 사항이 존재한다.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
CJK 통합 한자 확장 G
문자 종류한자
포함 문자 수4939
유니코드 버전13.0

2. 블록

다음은 유니코드의 블록 중 하나인 CJK 통합 한자 확장 G에 수록된 문자 목록이다. 이것은 유니코드 블록 중 하나로, 유니코드의 모든 CJK 통합 한자에 대한 개요는 CJK 통합 한자 문서를 참조해야 한다.

CJK 통합 한자 확장 G( CJK Unified Ideographs Extension G영어 )는 유니코드 13.0 버전을 기준으로 U+30000부터 U+3134A까지의 코드 포인트를 포함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000.pdf 유니코드 컨소시엄 공식 코드 차트] (PDF)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문자표


3. 역사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 블록은 유니코드 버전 13.0에 U+30000부터 U+3134A까지의 코드 포인트 범위에 총 4,939자의 문자를 추가한 것이다. 이 블록이 제정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문서 제출과 논의를 통해 진행되었다.

확장 G에 대한 논의는 유니코드 기술 위원회(UTC)가 2012년 10월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F에 포함할 문자 제안을 요청하면서 간접적으로 시작되었다 (L2/12-333). 이후 본격적인 작업은 CJK 작업 세트 2015(CJK Working Set 2015)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2016년 2월 UTC는 이 작업 세트 버전 1.1에 대한 검토 의견(L2/16-055)을 제출했고, 5월에는 IRG(Ideographic Research Group)에 제출된 통합 의견에 대한 UTC의 응답(N2133_CC)과 함께 통합 의견 문서(N2133_CC_1, N2133_CC_2)가 공개되었다.

2018년에는 확장 G의 표준화 작업이 더욱 구체화되었다. 2월에는 WG2(Working Group 2) 문서 N4935를 통해 당시 제안된 수정안 초안(PDAM2.2)에 포함된 확장 G 문자의 품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6월에는 IRG 작업 세트 2015 버전 6.0이 N5007L2/18-268R(IRG N2308)로 제출되었고, 이는 9월 WG2 회의 66(N4953)과 10월 UTC 회의 157(L2/18-272)에서 검토되었다.

2019년에는 최종 검토와 수정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 1월 WG2 회의 67(N5020)을 거쳐, 5월에는 IRG 작업 세트 2015 버전 7.0(초안 확장 G)에 대한 편집 보고서(N2363)가 나왔고, ISO/IEC 10646 표준의 6차 개정판 위원회 초안(CD.2)에 포함될 확장 G 블록에 대한 수정 사항(L2/19-236, N5065, IRG N2384)이 제안되었다. 이 과정에서 각 회원국의 검토와 제안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문자의 형태 등에 대한 수정이 있었다. 6월에는 CD.2에 대한 각국의 의견 처리 결과(L2/19-243, N5106)가 나왔고, 10월 UTC 회의 160(L2/19-270)에서 관련 합의가 이루어졌다. 12월에는 WG2 회의 68(N5122)과 다음 단계 초안(CD.3)에 대한 의견 처리 문서(N5124R)가 공개되면서 확장 G 블록의 내용이 최종 확정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한중일 통합 한자 확장 G는 2020년 3월 발표된 유니코드 13.0 버전에 공식적으로 포함되었다. 표준 발표 이후에도 일부 문자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와 수정 제안이 있었으며, 이는 후속 유니코드 버전 및 ISO/IEC 10646 개정판에 반영되었다.

3. 1. 한국 제출 문자 관련 논의

CJK 통합 한자 확장 G 블록에 포함된 문자 중 한국에서 제출한 문자와 관련된 주요 논의 및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글리프 변경 제안 (2019년): 2019년 6월 12일, 한국의 김경석, 표승주, 신상현, 조승덕은 WG2 문서 N5096을 통해 확장 G 작업 세트(WS 2015)에 포함된 4개의 한국(K) 출처 문자의 글리프 변경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이후 WG2 회의 68 (N5122, M68.06 항목) 및 UTC 회의 160 (L2/19-270, 합의 160-C18)에서 논의 및 반영되었다.

  • 수평 확장 요청 (2021년): 2021년 11월 2일, 한국의 신상현, 조승덕, 김경석은 IRG 문서 N2512 (L2/22-077)를 통해 이전에 확장 F, G, H에 제출되었던 51개 한자 문자의 수평 확장을 요청하는 수정 제안을 제출했다. 이 제안은 확장 G 블록 내의 7개 문자(U+302FC, U+30723, U+30A6D, U+30CF7, U+30DBF, U+31006, U+3105D)에 영향을 미쳤다. 해당 내용은 UTC 회의 171 (L2/22-061, E.1 섹션 19)에서 CJK 및 Unihan 그룹의 권고(L2/22-067, 섹션 19)에 따라 승인되었다.

  • '叱' 포함 문자 글리프 및 IDS 변경 (2022년): 2022년 10월 14일, 한국의 신상현, 김경석은 문서 L2/22-258을 통해 '叱'(U+53F1)을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97개의 한국(KR) 출처 한자 문자에 대한 글리프 및 IDS(Ideographic Description Sequence) 변경을 제안했다. 이 제안은 확장 G 블록 내의 16개 문자(U+301D4, U+301D9, U+301E4, U+301E8, U+301FF, U+30200, U+30205, U+3020C, U+30211, U+30215, U+30216, U+30217, U+30220, U+30234, U+30235, U+30237)에 영향을 미쳤다. 해당 내용은 UTC 회의 173 (L2/22-241, E.1 섹션 25)에서 CJK 및 Unihan 그룹의 권고(L2/22-247, 섹션 25)에 따라 승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3-07-26
[2] 웹사이트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3-07-26
[3] 간행물 18.1: Han (§ Blocks Containing Han Ideographs) https://www.unicode.[...] Unicode Consortium
[4] 웹사이트 18.1: Han (§ Blocks Containing Han Ideographs) https://www.unicode.[...] ユニコードコンソーシアム 2024-01-12
[5] 웹인용 Unicode character database https://www.unicode.[...] 2020-03-11
[6] 웹인용 Enumerated Versions of The Unicode Standard https://www.unicode.[...] 2020-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